jQuery (2) 썸네일형 리스트형 렌더링 관점에서 바라본 SPA방식(React 와 jQuery비교) 나는 현재 jQuery 기반 프레임워크를 사용해 프론트엔드 개발을 하고 있다.팀과 프로젝트의 특성상 오랜 기간 이 방식에 익숙해져 있었고, 별다른 불편 없이 개발을 이어왔다.하지만 웹 프론트엔드의 흐름은 이미 SPA(Single Page Application) 중심으로 옮겨갔고, 그 중심에는 React가 있다. 개인적으로 토이 프로젝트를 하거나 새로운 UI를 시도할 때는 자연스럽게 React를 선택하게 된다.최근에는 Next.js를 공부하면서 React 생태계에 대한 이해도 점차 넓어지고 있다.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SPA의 대표 예로 React를, MPA의 예로 jQuery를 비교해 보려 한다. React의 개념적인 장점들은 이제 익숙하다. 예를 들어, 가상 DOM을 통한 렌더링 효율 향상상태 관리를 기.. Chartjs를 사용해 효율적 투자선 그리기 - 2편 1편을 참고해주세요. https://sieon-dev.tistory.com/41 Chartjs를 사용해 효율적 투자선 그리기 - 1편 포트폴리오 이론과 효율적 투자선에 대해선 제가 간단하게 소개한 글이 있으니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sieon-dev.tistory.com/40?category=989136 Harry Markowitz의 포트폴리오 이론과 효율적 투자. sieon-dev.tistory.com *몇몇 과정에는 Jupyter Notebook에서 실행한 결과 화면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주가 데이터 가져오기 주가 데이터는 FinanceDataReader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서 불러옵니다. samsung = fdr.DataReader('005930','2019-01-01', '2020.. 이전 1 다음